🌐 네트워크 기본 개념 (Basic Network Concepts)

데이터 교환 방식

구분회선 교환 방식 (Circuit Switching)패킷 교환 방식 (Packet Switching)
경로고정된 경로로만 통신상황에 따라 최적 경로로 통신
안정성통신 중 방해받지 않음경로 고장 시 우회 가능하여 신뢰성 높음
효율성회선 독점으로 효율성 낮음회선 공유로 이용률 높고 효율적
데이터원본 데이터를 그대로 전송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분할하여 전송
대표 예시구형 전화망인터넷

프로토콜의 3요소

  1. 구문 (Syntax): 데이터의 형식, 부호화, 신호 레벨 등 데이터 구조를 정의합니다. (‘무엇을’)
  2. 의미 (Semantics): 특정 패턴을 어떻게 해석하고 어떤 동작을 할지 결정합니다. (전송/오류 제어 등) (‘어떻게’)
  3. 타이밍 (Timing): 데이터 전송 속도와 순서를 제어합니다. (‘언제’)

네트워크 범위

  • LAN (Local Area Network): 사무실, 집 등 좁은 지역을 연결하는 근거리 통신망.
  •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도시 규모의 지역을 연결하는 통신망.
  • WAN (Wide Area Network): 국가나 대륙 등 매우 넓은 범위를 연결하는 광역 통신망.

네트워크 장비와 OSI 계층

장비OSI 계층설명
리피터, 허브1계층 (물리)신호를 증폭하고 재전송
브리지, 스위치2계층 (데이터링크)MAC 주소를 기반으로 프레임 전달
라우터3계층 (네트워크)IP 주소를 기반으로 최적 경로 설정
게이트웨이4계층 이상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연결

layering OSI 7계층과 TCP/IP

OSI 7계층 모델

계층데이터 단위주요 프로토콜기능
7. 응용데이터HTTP, FTP, SSH, DNS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6. 표현데이터-데이터 형식 변환, 암호화, 압축
5. 세션데이터SSL응용 프로그램 간의 연결 수립 및 관리
4. 전송세그먼트TCP, UDP종단 간(End-to-End)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3. 네트워크패킷IP, ICMP, ARP논리적 주소(IP) 사용, 최적 경로 설정(라우팅)
2. 데이터링크프레임Ethernet물리적 주소(MAC) 사용, 오류 제어
1. 물리비트케이블, 허브전기적, 기계적 신호 전송

TCP vs UDP

  •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연결 지향형 프로토콜. 3-way handshaking으로 연결을 수립하여 데이터 전송 순서와 신뢰성을 보장합니다. (신뢰성이 중요할 때 사용)
  • UDP (User Datagram Protocol): 비연결형 프로토콜. 연결 과정 없이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하지만,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속도가 중요할 때 사용)

📍 IP 주소 체계 (IP Addressing)

IPv4 (Internet Protocol version 4)

  • 32비트 주소 체계로, 8비트씩 4개의 옥텟(Octet)으로 구성됩니다. (예: 192.168.0.1)
  • 클래스 기반 주소 할당:
    • A 클래스: 1.0.0.0 ~ 126.255.255.255
    • B 클래스: 128.0.0.0 ~ 191.255.255.255
    • C 클래스: 192.0.0.0 ~ 223.255.255.255
  • 사설 IP 대역: 내부 네트워크에서만 사용하는 주소.
    • A 클래스: 10.0.0.0 ~ 10.255.255.255
    • B 클래스: 172.16.0.0 ~ 172.31.255.255
    • C 클래스: 192.168.0.0 ~ 192.168.255.255

서브넷 마스크 (Subnet Mask)

  • IP 주소에서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하는 역할을 합니다.
  • 예: 255.255.255.192 (/26)
    • 마지막 옥텟 192는 이진수로 11000000입니다.
    • 네트워크 비트 2개, 호스트 비트 6개를 의미하며, 개의 서브넷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각 서브넷은 개의 IP를 가집니다. (0-63, 64-127, 128-191, 192-255)

IPv6 (Internet Protocol version 6)

  • 128비트 주소 체계로, IPv4의 주소 고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했습니다.
  • 호스트 주소 자동 설정, 보안 기능 강화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

MAC 주소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에 할당된 48비트 길이의 고유한 물리적 주소입니다.

🧩 주요 프로토콜 및 서비스

프로토콜포트 번호설명
HTTP(S)80(TCP), 443(TCP)웹 페이지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보안 강화 버전)
FTP20, 21(TCP)파일 전송 프로토콜
SSH22(TCP)보안된 원격 접속 프로토콜
Telnet23(TCP)원격 접속 프로토콜 (비보안)
SMTP25(TCP)이메일 송신 프로토콜
DNS53(TCP/UDP)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
DHCP67, 68(UDP)IP 주소 자동 할당 프로토콜
POP3110(TCP)이메일 수신 프로토콜
IMAP143(TCP)이메일 수신 프로토콜 (서버 동기화 지원)
SNMP161(UDP)네트워크 장비 관리 프로토콜
SAMBA139, 445(TCP)윈도우와 리눅스 간 파일/프린터 공유

🛠️ 네트워크 설정 및 진단 명령어

설정 및 확인 명령어

명령어설명
ifconfig(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 확인 및 설정
ip(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라우팅 테이블, ARP 테이블 등 종합 관리
ethtool네트워크 카드의 물리적 연결 상태, 속도 등 하드웨어 정보 확인
route라우팅 테이블 정보 확인 및 설정
netstat네트워크 연결 상태, 라우팅 테이블, 인터페이스 통계 정보 출력
ssnetstat을 대체하는 소켓 정보 확인 명령어. 더 빠르고 상세함.

진단 명령어

명령어설명
ping대상 호스트까지의 연결 상태와 응답 시간 확인
traceroute대상 호스트까지의 네트워크 경로 추적
arpIP 주소와 MAC 주소의 매핑 정보(ARP 테이블) 확인


📁 네트워크 설정 파일

  • /etc/sysconfig/network-scripts/: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세 설정 파일이 위치한 디렉터리 (예: ifcfg-enp0s3)
  • /etc/hosts: IP 주소와 호스트 이름을 수동으로 매핑하는 파일. DNS보다 먼저 조회됩니다.
  • /etc/resolv.conf: 사용할 DNS 서버의 IP 주소를 지정하는 파일.
  • /etc/services: 잘 알려진 포트 번호와 서비스 이름을 매핑한 정보 파일.
  • /etc/protocols: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프로토콜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